정보공유/헷갈리는 한글

[헷갈리는 우리말] 아니에요 vs 아니예요 둘 중 어떤게 맞을까요?!

전국아빠카페 2025. 3. 20. 10:16

 

 

 

 

올바른 표현은 "아니에요"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우리말 표현 중 하나인

'아니에요'와 '아니예요'의 차이를 정확하게 짚어보려고 합니다.

문자를 주고받거나 블로그, SNS에 글을 쓸 때 "이게 맞나?" 하고 고민했던 적 있으시죠?

사실 두 표현 중 맞는 것은 하나뿐인데, 많은 분이 혼동해서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답니다.

그럼 이제부터 하나씩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해요! 🚀

1. '아니에요'가 맞는 표현이에요! ✅

정답은 '아니에요'입니다! 🎉

'아니에요'는 '아니다'의 활용형으로, 문법적으로 올바른 표현이에요.

'아니다'의 기본형에 어미 '-에요'가 붙어서 활용되었기 때문이죠.

📌 예문으로 확인해 볼까요?

이거 제 물건 아니에요.

저는 학생 아니에요.

그렇게 말한 적 아니에요.

어떤가요? 문장에서 자연스럽게 사용되고 있죠? 😊

2. '아니예요'는 틀린 표현이에요! ❌

반면, '아니예요'는 틀린 표현이에요. 😥

'아니다'라는 말에 '-예요'를 붙이면 어색한 형태가 되거든요.

조금 더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아니'는 본래 활용형이 아니라 어간이기 때문에,

'-예요'를 붙이는 것이 문법적으로 맞지 않아요.

'예요'는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붙는 활용형인데,

'아니'는 동사이므로 예외가 될 수 없답니다.

📌 예문을 통해 다시 확인해 볼까요?

이거 제 물건 아니예요. ❌ (X)

저는 학생 아니예요. ❌ (X)

그렇게 말한 적 아니예요. ❌ (X)

어색하게 느껴지시죠? 😅

3. '-에요'와 '-예요'의 차이 🔍

그렇다면 '-에요'와 '-예요'의 차이를 한 번 더 정리해 볼까요?

'-에요' → 동사, 형용사에 붙는다. ✅ '-예요' → 받침 없는 명사에 붙는다.

예를 들어볼게요!

동사/형용사:

행복하에요 (X) → 행복하아요 (O)

에요 (X) → 좋아요 (O)

명사:

학생예요 (O)

가수예요 (O)

친구예요 (O)

그렇다면 '아니'는 동사이므로 '아니에요'가 맞는 표현이겠죠? 😆

4. 헷갈리지 않는 꿀팁! 🍯

아직도 헷갈린다면,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

'아니에요'를 문장에서 '아닙니다'로 바꿔보세요.

👉 자연스럽다면 '아니에요'가 맞아요!

📌 예문

이거 제 물건 아니에요. (O) → 이거 제 물건 아닙니다. (O)

저는 학생 아니에요. (O) → 저는 학생 아닙니다. (O)

그렇게 말한 적 아니에요. (O) → 그렇게 말한 적 아닙니다. (O)

반대로 '아니예요'를 넣고 바꿔보면 어색하답니다. 😅


오늘은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아니에요 vs 아니예요'에 대해 알아봤어요.

정답은 '아니에요'라는 것, 꼭 기억하세요! ✅

우리말을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은 정말 중요해요.

앞으로도 자주 헷갈리는 우리말 표현을 함께 배워가요! 😊

여러분이 자주 틀리는 표현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다음에도 쉽고 재미있는 설명으로 찾아오겠습니다. 💙

그럼 다음에 또 만나요~ 안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