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공유/헷갈리는 한글

[헷갈리는 우리말] "있다가" vs "이따가", 언제 어떻게 쓸까? 🤔

전국아빠카페 2025. 4. 4. 09:53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많은 분이 헷갈려하는 우리말 표현

"있다가"와 "이따가"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두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엄연히 다른 뜻과 용법을 가지고 있답니다. 💡


1. "있다가"란? 🧐

📍 기본 의미 : "있다가"는 어떤 장소나 상태를 유지한 후,

이후에 어떤 행동을 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 문법적 분석

"있다가"는 동사 "있다"에 연결어미 "-다가"가 붙은 형태입니다.

여기서 "있다"는 존재(어디에 머무르는 것)나 상태 지속의 의미를 가집니다.

"-다가"는 어떤 행동이 끝난 후 다른 행동이 이어짐을 나타냅니다.

📍 예문

✔️ "집에 있다가 친구 만나러 나갈게."

✔️ "조금만 있다가 다시 이야기하자."

✔️ "공원에 있다가 비가 와서 집에 왔어요."

➡️ 위 예문에서 보듯이, 어딘가에 머문 후 다음 행동으로 넘어가는 상황을 표현할 때 "있다가"를 사용합니다.


2. "이따가"란? 🤔

📍 기본 의미 : "이따가"는 시간이 조금 지난 후를 의미하는 부사입니다.

📍 문법적 분석

"이따가"는 순우리말로 미래의 어느 시점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줄여서 "이따"라고도 사용되지만 의미는 동일합니다.

"이따가"는 시간 개념이므로 장소나 상태 유지와 관련이 없습니다.

📍 예문

✔️ "이따가 전화할게!"

✔️ "이따가 저녁 먹고 영화 보자."

✔️ "지금은 바쁘니까 이따가 이야기하자."

➡️ 위 예문에서 알 수 있듯이, "이따가"는 조금 뒤의 시간을 의미합니다.

장소나 상태와 관련이 없다는 점이 "있다가"와의 차이점입니다.


 

3. "있다가" vs "이따가" 쉽게 구별하는 법! ✅

💡 핵심 포인트 정리!

구분
"있다가"
"이따가"
의미
어떤 장소에 머문 후 다음 행동을 함
조금 지난 후의 시간을 의미
품사
동사 + 어미
부사
예문
"학교에 있다가 학원 갈게."
"이따가 학원에서 만나!"
테스트
"어디에 있다가?"로 변형 가능
"언제?"로 변형 가능

기억법 TIP!

👉 "있다가"는 장소(어디)와 관련이 있고,

"이따가"는 시간(언제)와 관련이 있다! ⏰📍

👉 "있다가" → "어디 있다가?",

"이따가" → "언제?"라고 변형해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어요! 👍


4. 자주 틀리는 표현 살펴보기! 🚨

❌ "이따가 학교에 있다가 갈게."

➡️ 틀린 문장! ("이따가"는 시간 개념이므로 장소 개념을 포함하는 "있다가"와 함께 쓰이면 어색함)

올바른 문장 : "학교에 있다가 갈게."

❌ "조금만 있다가 전화할게."

➡️ 틀린 문장! (여기서는 "조금 뒤"라는 시간 개념이므로 "이따가"를 사용해야 함)

올바른 문장 : "조금만 이따가 전화할게."


오늘은 헷갈리기 쉬운 "있다가"와 "이따가"의 차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제부터는 이 두 표현을 구별해서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겠죠? 😊

"있다가"는 장소 & 상태 유지! 🏠

"이따가"는 시간의 흐름!

이제 여러분도 우리말 고수! 💪

앞으로도 헷갈리는 표현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

📢 그럼, 이따가 또 만나요! 😉

 

https://www.youtube.com/watch?v=n94loKYQUI8

 

 

사진: UnsplashGlen Carr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