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는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핵심 규칙만 알고 나면
정말 재미있고 깊이 있는 스포츠입니다. 🧠
TV로 중계를 보다 보면 “세이프는 언제?”, “왜 갑자기 이닝이 바뀌지?”,
“스트라이크는 뭐고 볼은 뭐야?” 같은 의문이 생기기 마련이죠.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오늘은 야구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꼭 알아야 할 기초 규칙을 쉽고 재밌게 설명해드릴게요. 🙌
야구를 본격적으로 즐기기 전, 이 글 하나면 경기의 흐름이 머릿속에 쏙쏙 들어올 것입니다.
자, 이제 야구의 문을 한 걸음씩 열어볼까요? 😊

1. 아웃과 세이프
기본 중의 기본! 🧤👟
야구는 아웃과 세이프를 중심으로 경기가 흐릅니다.
아웃(Out)
타자 또는 주자가 수비수의 플레이로 잡히면 아웃됩니다. 예를 들어,
타자가 친 공을 수비수가 바로 잡으면 아웃!
타자가 1루로 달려가기 전에 공이 먼저 도착해도 아웃!
스트라이크를 3번 당해도 아웃! (삼진)
세이프(Safe)
반대로 타자나 주자가 베이스에 먼저 도착하면 세이프!
1루에 발이 닿기 전에 공이 오지 않으면 세이프
슬라이딩으로 간신히 터치 피해도 세이프!
🔔 Tip
야구는 매 이닝 ‘3아웃’이 나오면 공격과 수비가 바뀌어요.
2. 이닝(Inning)
경기를 나누는 시간 단위 ⏱️
야구는 시간을 기준으로 하지 않고 ‘이닝’이라는 단위로 경기를 진행합니다.
1이닝 = 한 팀이 공격 + 수비 한 번씩
총 9이닝까지 진행되며, 9회가 끝난 뒤 점수가 더 많은 팀이 승리!
점수가 동점이면 연장전으로 이어지기도 해요.
📌 각 이닝은 3아웃이 되면 종료되고, 공격과 수비가 전환됩니다.
즉, 한 이닝에 공격 기회는 ‘3명 아웃될 때까지’ 주어지는 거죠.
3. 스트라이크와 볼
투수와 타자의 심리전! 🎯
야구의 진짜 묘미는 바로 스트라이크-볼 카운트에 있습니다.
✔ 스트라이크(Strike)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존(타자의 무릎~가슴 높이)을 통과하면 스트라이크!
또는 타자가 헛스윙하거나, 파울을 치면도 스트라이크!
스트라이크 3번이면 삼진 아웃!
✔ 볼(Ball)
공이 스트라이크존을 벗어나고, 타자가 스윙하지 않으면 볼!
볼이 4개 누적되면 자동으로 1루 진루 (볼넷이라고 불러요)
🧠 스트라이크 2개, 볼 3개의 상황 = 양쪽 모두 긴장 최고조!
타자는 기다릴지, 칠지 고민하고
투수는 스트라이크를 던질지, 유인구를 던질지 결정하죠.
4. 득점 방식
점수는 이렇게 난다! 🏃💨
야구는 주자가 홈플레이트까지 돌아오면 1점이 득점됩니다.
타자가 안타를 치고 1루 → 2루 → 3루 → 홈까지 진루하면 1점!
홈런을 치면 타자뿐 아니라 베이스 위 주자들도 모두 득점! (최대 4점)
희생플라이나 도루, 상대 실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주자가 진루하며 점수를 냅니다.
💡 Tip
한 경기에서 점수를 많이 내는 이닝은 ‘빅이닝(Big Inning)’이라고 불러요.
이럴 때 분위기 확 바뀝니다!
5. 수비 포지션 간단 정리
9명 모두가 주인공 🧍♂️
야구는 9명이 한 팀을 이루어 수비합니다. 각 포지션은 이렇게 구성돼요.
번호
|
포지션
|
역할
|
1번
|
투수(P)
|
공 던지는 중심 선수
|
2번
|
포수(C)
|
공 받으며 작전 지시
|
3~6번
|
1루수~3루수, 유격수
|
내야수 (땅볼 처리)
|
7~9번
|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
외야수 (뜬공 처리)
|
모든 포지션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고, 각자 빠른 판단력, 반사신경, 정확한 송구가 요구됩니다.
이것만 알면 야구가 보인다! 🎉
야구는 처음엔 복잡해 보이지만,
사실 몇 가지 핵심 규칙만 이해하면 흐름이 뚜렷한 스포츠입니다.
3스트라이크 아웃 / 4볼 진루
3아웃 교대 / 9이닝 구성
주자가 홈으로 돌아오면 1점
스트라이크존의 개념과 투수·타자의 머리싸움
이 구조만 이해해도 경기를 보는 눈이 완전히 달라질 것입니다! 📺
앞으로 야구 중계를 볼 때, TV 자막의 스트라이크/볼 카운트와
주자의 위치만 봐도 상황 파악이 쉬워질 거예요.
⚾ 이제 야구가 어렵게 느껴지지 않으시죠?
다음에는 실전 응원과 선수 분석까지 배워보면 더 재미있답니다.
야구의 세계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