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nviz

finviz
오늘은 혼조세였는데요!
바로 1분 브리핑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미국 증시는 경제 및 지정학적 리스크 속에서도
놀라운 강세를 이어가고 있었는데요
금일 미국증시는 장 초반에는 강세를 보였지만
주가 상승에 대한 경계심리가 퍼지면서,
결국에 S&P 500 지수는 장중 등락을 거듭한 끝에
보합권에서 마감했습니다.
반면,
나스닥 100 지수는 반도체 강자 엔비디아의
사상 최고가 경신에 힘입어
소폭 상승하며 또 한 번 역사를 새로 썼습니다.
장 마감 이후에는
마이크론이 긍정적인 실적 전망을 발표하면서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자극을 주었네요
경제 지표는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였는데요
신규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무려 13.7% 급감했고,
모기지 금리 상승으로 인해 주택 구매 수요도 위축되었습니다.
연준 파월 의장은 상·하원 청문회에서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에 어떤 영향을 줄지 예측하기 어렵다”는 말을 반복하며
조기 금리 인하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유지했습니다.
그는 특히 트럼프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정책이
시장과 경제에 어떤 충격을 줄지 예단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향후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S&P 500 지수는
현재 향후 12개월 예상 순이익의 22배 수준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장기 평균보다 약 35% 높은 수치입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분석에 따르면
주요 밸류에이션 지표 20개 모두에서 '고평가' 판정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JP모건은
경제 및 소비의 견고함을 근거로
미국 주식 시장이 올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술과 AI 중심의 펀더멘털, 시스템 매수세,
그리고 조정 시 액티브 자금 유입이
시장을 지지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반면 골드만삭스는
최근의 주가 상승이 숏커버링에 의한 것이며,
신중한 투자 접근이 필요하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의견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장기 투자자라면 조정 국면에서의 기회 포착,
단기 투자자라면 헤드라인 리스크에 대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그럼 조심히 살펴보시고
오늘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미국 증시]
S&P500 -0.00% → 6,092.16
다우 -0.25% → 42,982.43
나스닥100 +0.21% → 22,237.74
러셀2000 -1.16% → 2,136.18
[미국 국채]
02년 국채 수익률 3.821% → 3.781% ▼ (전일 같은시간대비)
10년 국채 수익률 4.296% → 4.291% ▼ (전일 같은시간대비)
[달러 인덱스]
97.980 → 97.690 ▼ (전일 같은시간대비)
[골드]
3,338.50 → 3,346.40 ▲ (전일 같은시간대비)
[에너지]
WTI 64.37 → 64.94 ▲ (전일 같은시간대비)
천연가스 3.550 → 3.393 ▼ (전일 같은시간대비)
[경제 지표]
23:00 - 미국 - 5월 신규주택판매 623K ▼ (예상: 693K 이전: 743K)
23:30 – 미국 – EIA 원유 재고 -5836 ▼ (예상: -1906K 이전: -11473K)
'정보공유 > 경제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30일(월) 미국증시 상반기 마감, 사상 최고치 경신한 미국증시! 배경은? (4) | 2025.07.01 |
---|---|
6월26일(목) 미국증시 S&P 500 지수는 장중 한때 신고가!! 그 이유는?! (8) | 2025.06.27 |
6월24일(화) 미국증시 나스닥 사상 최고치 경신! 이유는??! (7) | 2025.06.25 |
6월 23일(월) 미국증시 중동 리스크 완화 + 연준 기대감 = 투자심리 '훈풍'…S&P500 상승, 테슬라 8.2% 급등! (4) | 2025.06.24 |
6월19일(목) 미국증시 노예해방기념일 휴장! (7)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