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맞춤법 8

[헷갈리는 우리말] "로서" vs "로써", 언제 어떻게 쓸까? 🤔

​한국어를 쓰다 보면 은근히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죠? 특히 "로서"와 "로써"는 비슷하게 들려서 혼동하기 쉬운 대표적인 표현인데요. ​오늘은 이 둘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께 배워보겠습니다! 💡​​1. "로서"의 의미와 쓰임 🧐"로서"는 자격, 신분, 지위를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즉, '~의 자격으로'라는 의미를 담고 있죠.​📍 예문아빠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 (아빠의 신분으로서)선생님으로서 학생들에게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선생님의 자격으로서)대한민국 국민으로서 투표에 참여해야 한다. (대한민국 국민의 신분으로서)👉 쉽게 말해, 어떤 역할이나 위치를 강조할 때 "로서"를 사용하면 됩니다!​​2. "로써"의 의미와 쓰임 🤓"로써"는 수단, 도구, 방법, ..

[헷갈리는 우리말] "있다가" vs "이따가", 언제 어떻게 쓸까? 🤔

안녕하세요, 여러분! 😊 오늘은 많은 분이 헷갈려하는 우리말 표현 "있다가"와 "이따가"의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두 표현은 비슷하게 들리지만, 엄연히 다른 뜻과 용법을 가지고 있답니다. 💡1. "있다가"란? 🧐📍 기본 의미 : "있다가"는 어떤 장소나 상태를 유지한 후, 이후에 어떤 행동을 하게 됨을 의미합니다.​📍 문법적 분석"있다가"는 동사 "있다"에 연결어미 "-다가"가 붙은 형태입니다.여기서 "있다"는 존재(어디에 머무르는 것)나 상태 지속의 의미를 가집니다."-다가"는 어떤 행동이 끝난 후 다른 행동이 이어짐을 나타냅니다.​📍 예문✔️ "집에 있다가 친구 만나러 나갈게." ✔️ "조금만 있다가 다시 이야기하자." ✔️ "공원에 있다가 비가 와서 집에 왔어요." ➡️ 위 예문에서 보..

[헷갈리는 우리말] "예요" vs "에요", 언제 어떻게 쓸까? 🤔

​한국어 맞춤법에서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예요"와 "에요"입니다! 특히 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장에서 올바르게 쓰려면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 해요.오늘은 "예요"와 "에요"의 차이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릴게요. 📝✨​1. "예요"와 "에요"의 차이 🤷‍♂️📌 "예요" →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붙인다.📌 "에요" →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붙인다 ❌ (틀린 표현!)👉 즉, "에요"는 맞춤법에 없는 표현이고, 올바른 문법은 "예요"만 존재해요!❌ "에요"는 절대 쓰지 마세요!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에요"를 쓰는 걸까요? 🤔그 이유를 정확히 파헤쳐 보겠습니다!2. "예요"가 올바른 이유 📖"예요"는 "이다"의 활용형이에요.✍️ "이다"가 변하는 과정:"사과 + 이다..

[헷갈리는 우리말] 설거지 vs 설겆이 둘 중 어떤게 맞을까요?!

올바른 표현은 "설거지"입니다!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쓰면서도 종종 헷갈리는 우리말 표현 하나를 짚어보려고 해요. 바로 "설거지"와 "설겆이" 중에서 어떤 게 맞는 표현일까?" 하는 문제인데요. ​여러분은 평소에 어떤 표현을 사용하시나요? 혹시 "설겆이"라고 쓰고 있진 않으신가요? 🤭 ​그렇다면 오늘 이 글을 읽고 확실하게 올바른 표현을 기억해 보세요!✅ "설거지"가 맞는 표현!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표준어는 "설거지"입니다!"설겆이"는 많은 분들이 사용하지만, 사실 틀린 표현이에요. 국립국어원에서도 "설겆이"는 비표준어이며, 표준어는 "설거지"로 써야 한다"고 명확히 밝히고 있답니다.그렇다면 왜 "설겆이"가 아닌 "설거지"일까요?📌 "설거지"의 어원 살펴보기우리말 "설거지"는 본래 "설겆다..

[헷갈리는 우리말] 일일히 vs 일일이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일일이"입니다!​​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우리말이 많죠?오늘은 '일일히'와 '일일이'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답은 ‘일일이’!‘일일이’는 ‘하나하나 빠짐없이’라는 뜻으로,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반면 ‘일일히’는 잘못된 표현이니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예문으로 쉽게 익히기!✔️ 그는 서류를 일일이 확인했다.✔️ 참가자들의 의견을 일일이 들어보았다.이처럼 ‘일일이’가 맞는 표현이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여러분도 헷갈리는 우리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사진: Unsplash의Romain Vignes​

[헷갈리는 우리말] 봬요 vs 뵈요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봬요"입니다우리말을 사용할 때 비슷한 발음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죠.그중에서도 "봬요"와 "뵈요"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오늘은 두 표현 중 올바른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유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답은 "봬요"!"봬요"는 동사 "뵈다"(뵙다의 의미)에서 변형된 표현입니다.✔️ "뵈다"는 **"보다"**의 높임말로, 주로 웃어른을 뵙는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뵈다" + "어요" → "봬요" (O)예문을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일 다시 봬요." (O) → "(내일 다시 뵙겠습니다.)"✔️ "조만간 찾아뵙고 인사드리겠습니다." (O) → "(찾아가서 인사드리겠습니다.)"❌ "뵈요"는 틀린 표현!"뵈요"라는 표현은 표준어로 ..

[헷갈리는 우리말] 돼다 vs 되다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되다"입니다우리말을 쓰다 보면 "이게 맞나? 저게 맞나?" 고민되는 단어들이 많죠!특히 "돼다"와 "되다" 중 어떤 게 맞는 표현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자, 오늘 이 헷갈림을 한 방에 정리해 드릴게요! 🎯✨📌 정답은? "되다"가 맞습니다!"되다"는 어떤 상태나 상황이 이루어짐을 뜻하는 동사입니다.하지만 많은 분이 "돼다"라는 잘못된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 O: 일이 잘 되다.❌ X: 일이 잘 돼다.✔ O: 원하는 사람이 되다.❌ X: 원하는 사람이 돼다. 📌 "돼"는 어디서 나온 걸까? 🤔"돼"라는 표현이 아예 틀린 건 아니에요!"되다"가 활용될 때, "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그렇게 하면 돼! (되+어 → 돼)✅ 이 정도면 됐어! (되+었어..

[헷갈리는 우리말] 헷갈리다 vs 햇갈리다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헷갈리다"입니다 ​"햇갈리다"는 잘못된 표기이며,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헷갈리다의 뜻여러 가지가 뒤섞여 분간하기 어렵거나 혼동되는 상태예) "둘 다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린다."생각이나 판단이 흐려져 갈피를 잡지 못하는 상태예) "문제를 풀다가 갑자기 헷갈렸다."​​📌 정리헷갈리다(O) → 표준어햇갈리다(X) → 잘못된 표현사진: Unsplash의Joshua Hoeh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