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맞춤법에서 헷갈리는 표현 중 하나가 바로 "예요"와 "에요"입니다!
특히 말할 때는 비슷하게 들리지만, 문장에서 올바르게 쓰려면 차이를 정확히 알아야 해요.
오늘은 "예요"와 "에요"의 차이를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드릴게요. 📝✨

1. "예요"와 "에요"의 차이 🤷♂️
📌 "예요" → 받침이 없는 명사 뒤에 붙인다.
📌 "에요" → 받침이 있는 명사 뒤에 붙인다 ❌ (틀린 표현!)
👉 즉, "에요"는 맞춤법에 없는 표현이고, 올바른 문법은 "예요"만 존재해요!
❌ "에요"는 절대 쓰지 마세요! ❌
그렇다면 왜 많은 사람들이 "에요"를 쓰는 걸까요? 🤔
그 이유를 정확히 파헤쳐 보겠습니다!
2. "예요"가 올바른 이유 📖
"예요"는 "이다"의 활용형이에요.
✍️ "이다"가 변하는 과정:
"사과 + 이다" → "사과이어요"
"사과이어요"가 줄어들면서 "사과예요"가 됨!
즉, "예요"는 "이어요"의 줄임말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
3. "예요"를 올바르게 쓰는 방법 ✅
✔️ 받침이 없는 명사 + 예요
✔️ 받침이 있는 명사 + 이에요
📍 예문을 살펴볼까요?
"이것은 책이에요." ✅ (책+이에요)
"이것은 사과예요." ✅ (사과+예요)
"오늘 날씨가 좋아요!" ✅ ("좋아"는 형용사이므로 예요/이에요를 붙이지 않음!)
🚫 잘못된 표현
❌ "이것은 사과에요." (X)
❌ "이것은 바나나에요." (X)
📢 결론:
👉 "에요"는 문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므로 항상 "예요"를 써야 한다!
4. "예요"와 "이에요" 차이점 🧐
비슷해 보이지만 "예요"와 "이에요"는 다릅니다!
📌 받침 없는 명사 + 예요
✔️ 바나나 → 바나나예요
✔️ 시계 → 시계예요
📌 받침 있는 명사 + 이에요
✔️ 책 → 책이에요
✔️ 공 → 공이에요
🚨 주의할 점! 🚨
👉 받침이 있는 명사에는 무조건 "이에요"를 써야 해요!
👉 받침이 없는 명사에는 "예요"를 써야 해요!
❌ "이것은 책예요." (X)
✅ "이것은 책이에요." (O)
❌ "이것은 사과이에요." (X)
✅ "이것은 사과예요." (O)
이제 확실히 이해됐죠? 😆
5. "예요"와 "이에요"를
쉽게 구별하는 꿀팁! 🍯
🎯 받침이 있으면 "이에요", 없으면 "예요"!
✔️ 손가락이에요 (손가락 ⭕ 받침 있음)
✔️ 연필이에요 (연필 ⭕ 받침 있음)
✔️ 버스예요 (버스 ❌ 받침 없음)
✔️ 시계예요 (시계 ❌ 받침 없음)
👉 "에요"는 아예 쓰면 안 돼요!"
6. 자주 틀리는 표현들 🔥
❌ "나무에요." (X)
✅ "나무예요." (O)
❌ "학교에요." (X)
✅ "학교예요." (O)
❌ "강아지에요." (X)
✅ "강아지예요." (O)
❌ "연필예요." (X)
✅ "연필이에요." (O)
❌ "컴퓨터에요." (X)
✅ "컴퓨터예요." (O)
이제 틀릴 일 없겠죠? 😄
7. 정리! 📝
📌 "예요"만 맞는 표현! "에요"는 없다!
📌 받침 없는 명사 → "예요"
📌 받침 있는 명사 → "이에요"
이제 "예요"와 "이에요"를 완벽하게 구별할 수 있겠죠? 🎉
📢 앞으로는 올바른 맞춤법을 사용해 보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Vtxc5k_cTD8
'정보공유 > 헷갈리는 한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헷갈리는 우리말] "있다가" vs "이따가", 언제 어떻게 쓸까? 🤔 (0) | 2025.04.04 |
---|---|
[헷갈리는 우리말] "안" vs "않" 언제 어떻게 쓸까?[ 안않 각각 설명 / 예시 / 정리 ] (0) | 2025.04.03 |
[헷갈리는 우리말] 어이없다 vs 어의없다 둘 중 맞는 말은?! (0) | 2025.03.25 |
[헷갈리는 우리말]‘내’와 ‘네’, 어떻게 읽어야 할까?🤔 (2) | 2025.03.23 |
[헷갈리는 우리말] 몇일 vs 며칠 둘 중 어떤게 맞을까요?! (2)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