헷갈리는한글 20

[헷갈리는 우리말] 금세 vs 금새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금세"입니다! 📌 "금세"일까? "금새"일까?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친구에게 메시지를 보낼 때, "금세 도착할게!"라고 썼다가 갑자기 '어? 이게 맞나? 금새인가?' 하며 검색해본 적! ​😅 우리말 중에는 헷갈리는 표현이 참 많죠. 그중에서도 "금세"와 "금새"는 자주 혼동되는 단어인데요. 오늘은 이 두 단어의 차이를 확실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금세"가 정답입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우리가 흔히 "금방"이라는 뜻으로 쓰는 표현은 "금세"가 맞습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금세"가 맞는 표현으로 등록되어 있어요. 🧐​📖 "금세"의 뜻"금세"는 **"지금 바로, 조금 전에, 곧"**이라는 뜻으로, '금시에'가 줄어든 말입니다. 즉, 시간을 나타내는..

[헷갈리는 우리말] 할게요 vs 할께요 둘 중 어떤게 맞을까요?!

올바른 표현은 "할게요"입니다!우리말을 쓰다 보면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 많죠?특히 말할 때는 자연스럽게 들리지만, 막상 글로 적으려면 고민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할게요’와 ‘할께요’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정확히 알려드릴게요! 😊✅ 정답은 ‘할게요’!‘할게요’는 ‘하다’의 활용형인 ‘할’과 약속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게요’가 결합한 형태로, 올바른 표준어입니다.반면, ‘할께요’는 표준어가 아니므로 틀린 표현입니다! 🚫​📌 왜 ‘할께요’는 틀린 표현일까요?국어 문법에서는 ‘ㄹ’ 받침 동사(하다, 살다, 울다 등)에 ‘-게요’가 붙을 때는 반드시 ‘ㄹ게요’ 형태로 써야 합니다.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말할 때 자연스럽게 ‘할께요’라고 발음하면서 잘못 표기하는 경우가 많아요.📚 올바른 예문 ✔️..

[헷갈리는 우리말] 일일히 vs 일일이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일일이"입니다!​​일상에서 자주 쓰지만 헷갈리는 우리말이 많죠?오늘은 '일일히'와 '일일이'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정답은 ‘일일이’!‘일일이’는 ‘하나하나 빠짐없이’라는 뜻으로,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반면 ‘일일히’는 잘못된 표현이니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예문으로 쉽게 익히기!✔️ 그는 서류를 일일이 확인했다.✔️ 참가자들의 의견을 일일이 들어보았다.이처럼 ‘일일이’가 맞는 표현이라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여러분도 헷갈리는 우리말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사진: Unsplash의Romain Vignes​

[헷갈리는 우리말] 안되 vs 안돼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안돼"입니다우리말을 쓰다 보면 헷갈리는 표현들이 많죠! 특히 "안되"와 "안돼" 이 둘은 정말 자주 헷갈리는 단어인데요. 오늘은 그 차이를 쉽게 알려드릴게요!✅ "안되" vs "안돼" 정확한 구분법!✔ "안되" → 동사 "되다"의 부정형✔ "안돼" → 동사 "되다"의 활용형(구어체)📌 예문으로 쉽게 이해하기!✅ "안되" (X) → "안 돼" (O)이건 하면 안 돼. (올바름)이건 하면 안되. ❌ (잘못된 표현)모든 일이 내 뜻대로 되지 않아.→ "되지 않아"를 줄이면 "안 돼."💡 쉽게 기억하는 법!👉 문장에서 "안되"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싶다면, "되다"를 넣어 문장이 자연스러운지 확인하세요.✔ (X) 그건 절대 안되! → (O) 그건 절대 안 돼!✔ (O) 그렇게 하면 일이 잘 ..

[헷갈리는 우리말] 봬요 vs 뵈요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봬요"입니다우리말을 사용할 때 비슷한 발음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죠.그중에서도 "봬요"와 "뵈요"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오늘은 두 표현 중 올바른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유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답은 "봬요"!"봬요"는 동사 "뵈다"(뵙다의 의미)에서 변형된 표현입니다.✔️ "뵈다"는 **"보다"**의 높임말로, 주로 웃어른을 뵙는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뵈다" + "어요" → "봬요" (O)예문을 보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일 다시 봬요." (O) → "(내일 다시 뵙겠습니다.)"✔️ "조만간 찾아뵙고 인사드리겠습니다." (O) → "(찾아가서 인사드리겠습니다.)"❌ "뵈요"는 틀린 표현!"뵈요"라는 표현은 표준어로 ..

[헷갈리는 우리말] 웬만하면 vs 왠만하면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웬만하면"입니다우리말을 쓰다 보면 비슷한 발음 때문에 헷갈리는 단어들이 많습니다.특히 "웬만하면"과 "왠만하면" 중 어떤 표현이 맞는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은데요.오늘은 두 표현 중 올바른 것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 이유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정답은 "웬만하면"!"웬만하면"은 "어지간하면", "너무 지나치지 않으면", "가능하면"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예를 들어,"웬만하면 그냥 참고 넘어가자." (어지간하면 참자는 뜻)"웬만하면 오늘 안에 끝내려고 해." (가능하면 오늘 안에 끝내려는 뜻)이처럼 "웬만하면"은 조건이나 상황이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경우를 의미하는 표현입니다.​❌ "왠만하면"은 틀린 표현!"왠만하면"은 잘못된 표기이며,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는 표현입니다.그 ..

[헷갈리는 우리말] 돼다 vs 되다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되다"입니다우리말을 쓰다 보면 "이게 맞나? 저게 맞나?" 고민되는 단어들이 많죠!특히 "돼다"와 "되다" 중 어떤 게 맞는 표현인지 헷갈리는 분들이 많습니다.자, 오늘 이 헷갈림을 한 방에 정리해 드릴게요! 🎯✨📌 정답은? "되다"가 맞습니다!"되다"는 어떤 상태나 상황이 이루어짐을 뜻하는 동사입니다.하지만 많은 분이 "돼다"라는 잘못된 표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죠! 🚫✔ O: 일이 잘 되다.❌ X: 일이 잘 돼다.✔ O: 원하는 사람이 되다.❌ X: 원하는 사람이 돼다. 📌 "돼"는 어디서 나온 걸까? 🤔"돼"라는 표현이 아예 틀린 건 아니에요!"되다"가 활용될 때, "돼"로 줄어들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그렇게 하면 돼! (되+어 → 돼)✅ 이 정도면 됐어! (되+었어..

[헷갈리는 우리말] 오랜만 vs 오랫만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오랜만"입니다여러분은 "오랜만"과 "오랫만", 어떤 표현을 사용하시나요?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지만, 헷갈리기 쉬운 맞춤법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정확한 표현과 그 이유를 쉽게 알려드릴게요! 😊✅ 정답은 "오랜만"!👉 "오랜만"이 표준어이며, "오랫만"은 잘못된 표현입니다.그 이유는 "오랜만"이 '오래' + '만'의 결합이기 때문입니다.✔ "오래(長久하게)" = 시간이 길게 흐름✔ "만(동안, 간격)" = 특정 기간을 의미➡ "오랜만" =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올바른 예문:✅ 오랜만에 고향을 방문했다.✅ 오랜만에 친구와 연락했다.❌ "오랫만"이 틀린 이유"오랫동안"이라는 말이 있기 때문에 "오랫만"이 맞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이는 표준어가 아닙니다.✔ 비교하기:✅ 오랜..

[헷갈리는 우리말] 헷갈리다 vs 햇갈리다 둘 중 맞는 말은?

올바른 표현은 "헷갈리다"입니다 ​"햇갈리다"는 잘못된 표기이며,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헷갈리다의 뜻여러 가지가 뒤섞여 분간하기 어렵거나 혼동되는 상태예) "둘 다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린다."생각이나 판단이 흐려져 갈피를 잡지 못하는 상태예) "문제를 풀다가 갑자기 헷갈렸다."​​📌 정리헷갈리다(O) → 표준어햇갈리다(X) → 잘못된 표현사진: Unsplash의Joshua Hoehne​

[헷갈리는 우리말] 엎드리다 vs 업드리다 둘 중 맞는 말은?!

우리말을 쓰다 보면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단어들이 정말 많아요!그중에서도 오늘 알아볼 단어는 바로 ‘엎드리다’와 ‘업드리다’입니다. 🤨 이 두 단어를 헷갈려서 잘못 쓰는 경우가 많은데,과연 어떤 게 올바른 표현일까요? 정답을 바로 알려드릴게요! 😊✅ 정답은 ‘엎드리다’!💡 ‘엎드리다’는 몸을 앞으로 숙여 바닥에 붙이는 동작을 뜻하는 표준어예요.다시 말해, 가슴과 배가 아래로 향하도록 몸을 구부리는 것을 말하죠.📍 예문으로 쉽게 이해하기!✔ 아이가 소파에 엎드려서 만화책을 보고 있다. 📖✔ 운동할 때 팔굽혀 펴기를 하려면 먼저 엎드린 후 시작해야 한다. 💪✔ 너무 피곤해서 침대에 엎드린 채 그대로 잠들었다. 😴✔ 강아지가 주인을 보고 반갑다고 엎드려서 꼬리를 흔들고 있다. 🐶위 예문을 보..